본문 바로가기

美 첩보기관, 북한 등 231개국 사이버 공격 美 첩보기관, 북한 등 231개국 사이버 공격손경호 기자/ sontech@zdnet.co.kr 2013.09.01 / AM 08:32 미국 사이버 공격 , NSA미국 첩보기관이 약 520억달러(약 57조6천680원)의 숨겨진 예산을 책정한 것과 함께 북한 등 231개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1일(현지시간) 씨넷 등 외신은 미국 주요 IT기업 등에 대한 사이버 감시활동을 벌여온 NSA와 함께 미국 첩보기관들이 실제로 사이버 공격까지 수행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외신에 따르면 2011년 미국 국가안보국(NSA)은 이란, 러시아, 북한, 중국 등에 대해 231건의 사이버 공격을 수행했다. 6억5천200만달러(약 7천230억원)를 투자한 공격프로젝트는 일명 '지니'로 불린다. 이를 .. 더보기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5편 ] Physical - 1계층 물리적 계층 Physical - 1계층 물리적 계층 1. 데이터의 정보를 전기적인 볼트(Volt)로 변환하여 매개체를 통하여 상대방의 수신 장치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2. 물리적인 접속 형태, 전송방식 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인터페이스와 매체의 물리적인 특정 즉 케이블을 정의 하고 있습니다. 4. 1 계층 장비 : Hub, Repeater, Transceiver 1계층에서 이전에 다뤄봤던 네트워크의 구성 방식에 대해서 다시 한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의 구성방식에는 버스(Bus), 스타(Star), 링(Ring), 메시형(Mesh) 방식이 사용되며 1. 버스 (Bus)형 네트워크 구성 방식 a. 장점i. 네트워크 구성의 케이블 및 하드웨어 비용이 저렴하다.ii. 네트워크의 설치가 간단하고 쉽다... 더보기
NAT 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을 사용하는 목적에는 2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인터넷의 공인 IP주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고 둘째는 인터넷이란 공공망과 연결되는 사용자들의 고유한 사설망을 침입자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넷의 공인 IP주소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급적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NAT를 이용하면 사설 IP주소를 사용하면서 이를 공인 IP주소와 상호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인 IP주소를 다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절약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공개된 인터넷과 사설망 사이에 방화벽(Firewall)을 설치하여 외부 공격으로부터 사용자의 통신망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외부 통신망 즉 인터넷망과 연결하는 장비인 라우터에 NAT를 설정할 경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