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4편 ] IPv4 / IPv6 주소 변환 기술 변환 기술은 IPv4 망과 IPv6 망 사이에 주소변환기를 사용하여 상호 연동 시키는 기술입니다. IPv6 클라이언트가 IPv4 서버에 접속 하거나 반대로 IPv4 클라이언트가 IPv6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IPv6와 IPv4 간의 주소 전환 장비를 이용하여, 기존의 IPv4에서 사용되던 NAT 기술과 마찬가지로 IPv6와 IPv4 간의 Address Table을 생성하여 양단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이러한 기술은 IPv4 패킷과 IPv6의 패킷에서 IPv4 헤더와 IPv6 헤더를 제외한 상위 계층은 동일한 구조로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IPv4, IPv6 헤더 부분을 전환하며 그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상위 계층의 패킷에 IP정보가 포함된 프로토콜이 포함된 경우에.. 더보기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3편 ] IPv6 듀얼스택 듀얼스택은 하나의 시스템(호스트 또는 라우터)에서 IPv4와 IPv6 프로토콜을 모두 처리하는 기술입니다.IPv6 노드가 IPv4 전용 노드와 호환성을 유지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IPv6/IPv4 패킷을 모두 주고 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IPv4/6 패킷을 사용하여 IPv4/6 노드와 직접 호환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듀얼스택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하나이지만 논리적으로 IPv4와 IPv6를 둘 다 지원합니다. ㅡ 다음은 듀얼스택 호스트의 구조입니다. 즉, IPv4/IPv6듀얼스택 S/W는 일반적으로 운영체제 커널단에 S/W 형태로 구현됩니다. 다양한 표준의 네트워크 카드(이더넷, ATM, 와이파이, 와이브로, WCDMA등)와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 DNS는 호스트 이름과 IP주소를 매핑 .. 더보기 미국, 인터넷 주소자원 관리 손 뗀다 인터넷 주소자원이 2015년이면 미국에서 민간의 품으로 간다.미국 상무부 산하 통신정보관리청(NTIA)은 인터넷 주소자원 관리 기능을 국제 다자간 협의체에 돌려준다고 3월14일 발표했다. 1998년 미국 정부가 인터넷 주소자원을 관리한 지 16년 만이다.지구촌 어디에서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www.bloter.net을 입력하면 ‘블로터닷넷’이란 웹사이트로 접속한다. www.bloter.net이란 이름이 블로터닷넷의 서버로 인터넷 사용자를 잇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물론, www.bloter.net이란 주소가 다른 곳과 겹치지 않고 오로지 블로터닷넷과 연결된 점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 일을 그동안 미국의 국제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ICANN)가 NTIA와 계약을 맺고 해왔다. 이 계약이 오는 2015년 ..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