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outer
- 인터넷
- 암호
- ccnp
- CRC
- TCP/IP
- CCNA 문제
- 200-120
- trouble shooting
- 642-813
- CCNA
- How do I find the Cisco MSE Version Number via command line?
- Security
- OSI 7 계층
- 보안
- 642-902
- switch sim
- 네트워크 모델
- 시뮬문제
- Switch
- PASSWORD
- CCNA Configuration SIM Question
- apt
- PC 정비
- Sim
- network
- 와이파이 비밀번호
- Internet
- 640--802
- Ethernet
- Today
- 7
- Total
- 420,062
Mind Net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9편 ] TCP Header 4계층 TCP 헤더 구조 본문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9편 ] TCP Header 4계층 TCP 헤더 구조
sungchan41 2013. 9. 14. 18:46TCP Header 구조
Source Port address 필드(16bit)
: 데이터를 생성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포트번호를 나타낸다.
- Well-known ports(0~1,023) : IANA에 의해 배정되고 제어된다.
- Registered port(1,024~49,151) : IANA에 의해 배정되거나 제어되지 않는다.
하지만 중복을 피하기 위해 IANA에 등록 될 수는 있다.
- Dynamic Ports(49,152~65,535) : IANA에 의해 제어되거나 등록되지 않는다.
어느 프로세스라도 사용 할 수 있으며 임시 포트이다.
클라이언트를 위한 임시 포트 번호는 이 영역에서 선택되도록 권고되고 있다.
Destination Port address 필드(16bit)
: 목적지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포트 번호
Sequence number 필드(32bit)
- 전송되는 데이터의 가상 회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모든 바이트에는 고유한 일련 번호가 부여된다.
- 네트워크가 불안하여 패킷을 분실, 지연 등으로 세그먼트가 순서가 어긋나게 도착 할 수 있기 때문에 sequence numb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올바른 순서로 재배열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 number 필드(32bit)
- 다음 세그먼트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다는 사실을 알린다.
- 모든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묵시적인 확인 메시지 역할을 한다.
Header Length 필드 (4bit)
: 헤드의 길이를 32비트 단위로 나타낸다. 최소 필드 값은 5 (5 * 32 = 160bit or 20Byte )
최대 값 15 (15 * 32 = 480bit or 60byte)
Reserved 필드(6bit)
: 차후의 사용을 위해서 예약된 6 비트 필드이다.
Control Flags 필드(6bit)
: 6개의 서로 다른 제어 비트 또는 플래그를 나타낸다. 동시에 여러 개의 비트가 1로 설정될 수 있다.
- CWR : Congestion Window Reduced) – 혼잡 윈도우 크기 감소
- ECN :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 혼잡을 알림
- URG(Urgent) : Urgent Pointer 필드가 가리키는 세그먼트 번호까지 긴급 데이터를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Uregent Pointer 필드는 무시되어야 한다.
- ACK(Acknowledgment) : 확인 응답 메시지
- PSH(Push) :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것을 뜻한다.
- RST(Reset) : 수신 거부를 하고자 할때 사용
- SYN(Synchronize) : 가상 회선이 처음 개설될 때 두 시스템의 TCP 소프트웨어는 의미 있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일련 번호를서로 동기화해야 한다.
- FIN(Finish) : 작업이 끝나고 가상 회선을 종결하고자 할 때 사용
Window size 필드(16bit)
: 송신 시스템의 가용 수신 버퍼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Checksum 필드(16bit)
: TCP 세그먼트의 내용이 유효한지 검증하고 손상 여부를 검사 할 수 있다.
'IT Study > Network 쉽게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1편 ] NTP 란? (0) | 2014.02.03 |
---|---|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0편 ] IP (아이피) 란? (0) | 2013.10.25 |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9편 ] TCP Header 4계층 TCP 헤더 구조 (1) | 2013.09.14 |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8편 ] IP Header IP헤더 구조 (2) | 2013.09.13 |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7편 ] Frame Header (Ethernet II, IEEE802.3) 구조 (0) | 2013.09.08 |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16편 ] Cable & Connector 종류 및 규격 , 특징 (0) | 2013.09.03 |
- Tag
- 4계층 TCP 헤더, CEUAPRSF, Flage 필드, TCP 헤더